본문 바로가기

Jnana526

브람만에 대한 설명 바시슈타는 계속 말했다.오, 라마여! 그대의 영적인 일깨움을 위하여 나는 이 모든 것을 되풀이해서 말합니다. 왜냐하면 참나의 깨달음은 영적인 수행의 반복이 없이는 일어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아비디야 혹은 아냐나(ajnana)라고 알려진 이 무지는 사람이 수천 번의 몸을 바꾸는 가운데 이 몸의 내부와 외부를 통하여 감각들에 의해 표현되고 체험되었기 때문에 더욱 깊어졌습니다. 그러나 참나 지식은 감각이 미치지 않는 곳에 있습니다. 참나 지식은 여섯 번째 의식인 감각과 마음이 멈출 때 일어납니다.오, 라마여! 마치 자나까 왕이 마땅히 알아야 할 것을 다 알고 난 뒤에도 살아간 것처럼, 참나 지식에 확고히 자리를 잡고 이 세상에서 살아가십시오. 그는 활동을 하든지 하지 않든지, 깨어 있든지 간에 늘 진리를 깨닫.. 2018. 4. 26.
제6부 해방에 관하여 바가반 라마나 마하리쉬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찌다바사는 마음의 빛으로 나타나는 참나의 느낌이다. 하나는 셋이 되고, 셋은 다섯이 되며, 다섯은 다수가 된다. 다시 말해, 순수한 참나(하나로 나타나는 사뜨바)는 접촉을 통해 셋(사뜨바, 라자스, 따마스)이 되며, 그 셋과 더불어 다섯 원소가 생겨나고, 그 다섯과 더불어 온 우주가 생겨난다. 몸이 참나라는 환영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하늘(아까샤)로 설명을 하자면, 그것은 영혼에 비친 세 가지 범주 즉 순수 의식의 무한한 세상, 정신적 의식의 무한한 세상, 그리고 물질의 무한한 세상(찌다까샤, 찌따까샤, 부따까샤)으로 설명될 수 있다. 마음(찌따)이 세 양상, 다시 말해, 마음(마나스), 직관(붓디) 그리고 '나'의 창조자(아함까라)로 구분될.. 2018. 4. 26.
제14장 세계의 쌍윳따 3.행위의 길에 대한 품 Kammapathavagga 14:23 삼매에 들지 못함의 경 Asamahitasutta 한때 세존께서 싸밧티 시에 계셨다.[세존] "수행승들이여, 뭇삶들은 세계에 따라 관계를 맺고 어울린다.믿음이 없는 자는 믿음이 없는 자들과 관계를 맺고 그들과 어울린다. 부끄러움을 모르는 자는 부끄러움을 모르는 자들과 관계를 맺고 그들과 어울린다. 창피함을 모르는 자는 창피함을 모르는 자들과 관계를 맺고 그들과 어울린다. 삼매에 들지 못하는 자는 삼매에 들지 못하는 자들과 관계를 맺고 그들과 어울린다. 지혜롭지 못한 자는 지혜롭지 못한 자들과 관계를 맺고 그들과 어울린다.믿음이 있는 이는 믿음이 있는 이와 관계를 맺고 그와 어울린다. 부끄러움을 아는 이는 부끄러움을 아는 이와 관계를 맺고 그와 어울린다. 창피함을 아는 이는 창피함을 아는 이와 .. 2018. 4. 14.
진리가 드러나는 길 마음이 세상이고, 세상이 마음입니다. 어느 하나가 진실하지 않은 것으로 자각될 때, 둘 모두는 사라집니다! 마음이 정화될 때 마음은 진리를 비춥니다. 실재하지 않는 세상의 모습은 사라집니다. 마음은 진리를 계속해서 명상할 때 정화됩니다. -요가 바시슈타:슈끄라의 이야기 중- 2018.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