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niversial115

보석과 불 보석이냐, 불이냐 - 히말라야 성자들스승께서는 결코 나에게 세상을 포기하고 스와미가 되라는 강요를 하지 않으셨다. 그분은 내가 직접 경험을 하여 스스로 결정을 내리기를 바라셨다. 그러면서 늘 이렇게 말씀하셨다."네가 내게서 배울 것이 있다면 무엇이든지 배우되 스스로 배워 나가도록 해라. 네가 나의 도움을 얻고자 한다면, 나는 언제든 이곳에 있겠다."만일 내가 스승께 질문을 한다면, 이렇게 대답하실 것이다."얘야, 피곤하지도 않느냐? 왜 너는 스스로 답을 구하려 들지 않는거냐? 어째서 너는 나에게 자꾸 질문을 하느냔 말이다. 내 너에게 간단하게 대답해 줄 수가 없으니, 의문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 주겠다."스승께서는 내게 세상의 일에 대해 알게 해주려고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셨다."세상으로 가거라.. 2018. 1. 31.
Dhyana=Zen=Seon 영어의 meditation이란 말은 원래 산스크리트어가 지닌 드야나dhyana 만큼의 함축성을 지니고 있지 않다. meditation은 잘못된 언어의 뜻을 가지고 있다. 그대가 meditation이라고 말하는 순간, 즉시로 '무엇에 관한?'이라는 생각이 떠오른다. 영어에서의 meditation이라는 단어의 뜻은 언제나 어떤 대상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산스크리트어인 드야나의 뜻에서는 그러한 대상이 없다. 이에 반하여 그것에는 절대적으로 대상이 없다. 모든 개념 중에서 전적으로 텅 비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 '드야나'이다. 그러므로, 붓다의 메세지가 중국에 이르렀을 때, '드야나'는 번역되지 않은 채 남아 있었다. 뙈냐하면 중국에서도 동의어가 없었기 때문이다. 중국어는 세계의 다른 언어보다도 훨씬 풍부하다.. 2018. 1. 30.
삼스카라, 상카라보다 중요한 것 삼스카라의 근원을 알려고 하는 것은 시간의 낭비일 뿐이다. 중요한 것은 생의 매순간을 긍정적인 일로 보내는 것이다. 우리가 생과 생을 걸쳐 마음속에 지니고 다니는 선행과 악행의 흔적을 “삼스카라”라고 한다. 삼스카라는 알맞은 토양에서만 싹트는 씨앗과 같아서 그렇지 못하면 잠든 채로 남아 있는다. 사람이 자신의 고통과 불행을 알고 어떠한 삼스카라가 어떤 고통을 불러왔는지 알려고 시간을 보낸다고 해서 고통이 치유되지는 않는다. 오직 공상속에 시간만 낭비될 것이다. 만일 생각과 행동에 있어 긍정적인 덕성을 기른다면 긍정적인 삼 스카라가 발아할 수 있는 토양이 배양되고 부정적인 삼스카라는 잠든 상태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이렇게 하면 단지 좋은 덕성을 키우는 것으로만 해서도 평화를 얻을 수 있다. - '존재하는.. 2018. 1. 30.
내면의 세계, 외부의 세계(Inner Worlds, Outer Worlds), 2012 다큐(HD) - 깨달음,의식각성,자유,제3의 눈,쿤달리니,차크라 내면의 세계, 외부의 세계(Inner Worlds, Outer Worlds), 2012 다큐(HD)- 깨달음,의식각성,자유,제3의 눈,쿤달리니,차크라 [CRAMV(D.U.)-10] (1).mp4 2018. 1. 20.